티스토리 뷰
2022년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시행되다
최근 연일 언론에서 보도되고 있는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과연 일각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과거 일제고사의 부활이 될지 아니면 학력저하를 막기 위한 수단이 될지 궁금합니다. 그렇다면 교육부에서는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 2022년 학업성취도 평가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학업성취도 평가 방법 및 기본방향
*컴퓨터 기반 평가
이번에 시행할 학업성취도 평가는 지필이 아닌 컴퓨터 기반 평가가 도입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문항에서 멀티미디어를 통한 다양한 모의상황과 도구가 제시되고 평가자는 이를 이용한 수행을 통해 답안을 작성하는 형태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문제에서 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가 제시될 수 있고 평가자가 활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도구를 제시하여 평가자는 직접 마우스 등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이 기록되어 결과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한 평가가 가능할 것이라는 게 교육부의 입장입니다.
*평가 대상
2022년 평가 대상은 표집군과 자율 선택군으로 나뉘게 됩니다. 표집 군의 경우는 2단계 충화 군집 표집으로 평가대상을 선정하며 자율평가 대상은 단위학교별로 평가를 희망할 경우 신청을 하여 평가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표집군 : 중3, 고2 학생의 3% (평가대상 중3․고2 학생 중 3% 약 26,000명(438교), 대표성 있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발표를 위해 표집평가 실시)
-자율군 : 초6, 중3, 고2 희망학교 학생 ( 자율군은 점차 확대할 예정 → (2023) 초5‧6, 중3, 고1‧2 → (2024~) 초3~고2 )
*평가 시기
- 표집군 평가는 9월 초에 평가일을 확정하여 동일한 날짜에 일괄 평가 실시
- 자율평가의 경우 1회차는 9~10월까지, 2회차는 12월~ 이듬해 3월까지 학교단위 신청 및 평가 실시
*평가 범위(표집군)
학년 | 교과 | 평가범위 | 시간 |
중3 |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 중 1~2학년 전 과정, 3학년 1학기 과정 | 교과별 45분 |
고2 | 국어, 수학, 영어 | (국어, 영어) 범교과 소재 (수학) 고등학교 '수학' 과목 |
교과별 50분 |
학년 | 교과 | 평가범위 | 시간 |
초6 |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 직전 학년 2학기 ~ 현 학년 1학기 | 교과별 40분 |
중3 | 교과별 45분 | ||
고2 | 국어, 수학, 영어 | 고등학교 1학년 | 교과별 50분 |
학년 | 교과 | 평가범위 | 시간 |
초6 |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 현 학년 1학기 ~ 2학기 | 교과별 40분 |
중3 | 교과별 45분 | ||
고2 | 국어, 수학, 영어 | 고등학교 1학년 | 교과별 50분 |
'금쪽같은 육아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신입생 입학 준비 (유능한 초등교사는 자신의 아이를 어떻게 가르치는가) (0) | 2022.10.28 |
---|---|
학교폭력 가해자 학부모 주의사항 (0) | 2022.10.20 |
학교폭력 합의(학교장 자체해결) 시 주의사항 (0) | 2022.10.11 |
학교폭력과 진단서 (0) | 2022.10.10 |
학교폭력 피해자 학부모 주의사항 (0) | 2022.10.06 |